프로야구중계 삼성 VS 키움 전력분석
프로야구중계 삼성 VS 키움 전력분석
예측하기 어려운 삼성과 키움 과연 승자는?
- 목차
- 삼성 VS 키움 전력분석
- 실시간 중계채널
- 우천 취소 기준
키움 히어로즈의 외국인 투수 케니 로젠버그가 시즌 4승에 도전합니다. 로젠버그는 5월 20일(월)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리는 2025 신한은행 SOL KBO리그 삼성 라이온즈와의 홈경기에 선발 등판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프로야구 중계 보는 법과 전력 분석을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순위는 키움이 14승 35패로 승률 .286, 리그 최하위(10위)에 머무르고 있고, 삼성은 21승 1무 25패로 승률 .457을 기록하며 8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양 팀의 시즌 상대전적은 삼성이 2승으로 앞서고 있습니다.
1. 삼성 VS 카움 전력 분석
로젠버그는 올 시즌 10경기에 출전해 57이닝을 던지며 3승 4패, 평균자책점 3.95를 기록 중입니다. 직전 등판이었던 LG 트윈스전에서는 5이닝 6피안타 1볼넷 1사구 6탈삼진 4실점(3자책)을 기록하며 패전을 떠안았습니다. 삼성과의 올 시즌 첫 맞대결에서는 3이닝 8피안타(1피홈런) 3볼넷 1사구 4탈삼진 8실점으로 무너진 바 있습니다.한편, 키움은 직전 경기에서 NC 다이노스에 0-5로 패하며 타선과 불펜 모두 고전했습니다. 팀 전체가 단 1안타에 그쳤으며, 전태현이 유일한 안타를 기록했습니다. 불펜진도 이강준, 김성민, 이준우, 오석주가 차례로 나서며 총 5실점을 허용했습니다. 삼성은 이날 원태인을 선발로 내세웁니다. 원태인은 올 시즌 8경기에서 48이닝을 소화하며 3승 2패, 평균자책점 2.81의 안정적인 성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직전 경기에서는 KT를 상대로 6이닝 7피안타(1피홈런) 7탈삼진 3실점을 기록하며 패전을 기록했습니다. 키움과는 이번 시즌 첫 맞대결입니다. 삼성 역시 최근 분위기는 좋지 않습니다. 지난 경기에서는 롯데 자이언츠에 3-6으로 패하며 3연패 늪에 빠졌습니다. 타선은 8안타를 기록하며 분전했지만, 마운드의 아쉬움이 컸습니다. 김헌곤은 3안타로 맹활약했고, 르윈 디아즈도 멀티히트를 기록했지만 팀 패배를 막지 못했습니다.
2. 중계 채널
1. SSG 랜더스 vs 두산 베어스 (잠실야구장)
중계채널: 챔스티비
잠실에서는 SSG 전영준과 두산 외국인 에이스 잭 로그의 맞대결이 펼쳐집니다. 두 투수 모두 안정적인 투구를 보여주고 있어 팽팽한 투수전이 기대됩니다.
2. KIA 타이거즈 vs KT 위즈 (수원 KT위즈파크)
중계채널: 챔스티비
수원에서는 떠오르는 젊은 좌완 윤영철과 KT 신예 조이현이 맞붙습니다. 양 팀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중요한 일전입니다.
3. LG 트윈스 vs 롯데 자이언츠 (부산 사직야구장)
중계채널: 챔스티비
부산에서는 LG 송승기와 롯데 윤성빈의 선발 맞대결이 펼쳐집니다. 홈팬들의 뜨거운 응원 속에서 어느 팀이 기선제압에 성공할지 주목됩니다.
4. 한화 이글스 vs NC 다이노스 (울산 문수야구장)
중계채널: 챔스티비
울산에서는 한화의 에이스 문동주와 NC의 기대주 목지훈이 선발로 나섭니다. 강속구 대결과 젊은 투수들의 성장 대결이 흥미를 더합니다.
5. 키움 히어로즈 vs 삼성 라이온즈 (고척 스카이돔)
중계채널: 챔스티비
고척에서는 키움 로젠버그와 삼성 원태인의 선발 맞대결이 예정돼 있습니다. 서로 물러설 수 없는 중하위권 경쟁에서 승부의 향방이 중요해졌습니다.
3. 우천 취소 기준
KBO 프로야구중계에서는 경기 시작 전 시간당 10mm 이상의 비가 내리거나, 경기 개시 1시간 전 기준 5mm 이상일 경우 취소를 고려하게 됩니다. 경기 도중 그라운드가 미끄러워지거나 시야 확보가 어려워질 경우, 현장 심판진이 선수단의 의견을 듣고 30분간 경기를 일시 중단합니다. 5회 이전 중단되면 '노게임'이 되며 팬들은 환불 받을수 있습니다. 5회 이후 중단되면 당시 기준으로 강우 '콜드게임'이 되며 팬들은 환불 받을수 없습니다. 우선 편성 경기: 8월 31일까지 팀당 135경기 편성, 나머지 9경기는 우천 취소 경기와 함께 추후 확정 예정 정규시즌은 3월 22일 시작되며, 각 구단은 144경기를 치르게 됩니다. 올해는 선수들의 체력 관리가 중요해지며, 2연전이 폐지되어 선수들이 더 유연하게 로테이션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경기수 배정이 개선되어 각 구단의 이동 거리가 최소화될 예정입니다.KBO 리그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중계되며, 팬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경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 챔스티비
TV 중계: KBS, MBC, SBS, SPOTV
OTT 서비스: 티빙(TVING)
특히 챔스티비에서는 '실시간 고화질 스티리밍'을 통해 특수 카메라 및 그래픽을 활용한 고품질 중계를 제공합니다.